희귀한 직업 소개

완초장 – 말총 공예의 장인, 희귀 직업의 세계

adeessrr88 2025. 8. 22. 07:00

오늘날 한국 사회는 디지털 산업과 첨단 기술로 대표되지만, 그 화려한 도시의 풍경 속에서도 보이지 않는 장인의 세계가 존재합니다. 바로 완초장(莞草匠)입니다. 일반적으로 완초장은 풀을 엮는 장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그 범주 안에 말총(馬鬃)을 이용한 직조와 공예 기술도 포함됩니다. 말총은 말의 갈기와 꼬리털로, 단단하면서도 유연성이 뛰어나 전통적으로 가구, 모자, 망사, 생활 도구 제작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다루는 장인은 극히 드물어 한국에서도 손꼽을 정도로 남아 있으며, 이 때문에 완초장은 희귀 직업으로 분류됩니다.

이 글에서는 완초장의 기원과 말총 공예의 역사, 작업 과정, 현대 사회 속 가치, 그리고 미래적 의미를 살펴봅니다. 단순한 직업을 넘어, 완초장은 예술성과 과학성, 전통과 현대를 잇는 연결 고리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말총 공예의 장인, 희귀 직업

희귀한 직업 완초장의 기원과 말총 공예의 역사

완초라는 이름은 본래 풀을 뜻하지만, 장인의 세계에서는 자연 섬유를 활용해 직조하는 전통 기술 전반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이 안에는 왕실과 귀족 사회에서만 사용되던 말총 공예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말이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자원이었기 때문에 그 부산물인 말총 또한 귀하게 여겨졌습니다. 말총은 질기고 윤기가 있어 고급 소재로 쓰였으며, 주로 갓끈, 가구 장식, 모자, 의례 용품, 생활 도구에 활용되었습니다. 특히 말총으로 짠 의자는 통풍이 뛰어나고 오래 사용해도 변형이 적어 상류층에서 사랑받았습니다.

왕실에서는 말총 공예를 담당하는 장인을 따로 두었고, 이들은 궁중의 의례와 실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제작했습니다. 그러나 산업화와 함께 말총 제품은 값싼 대체재에 밀려나면서 그 기술을 계승하는 사람도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현재는 국가 지정 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를 중심으로 극소수의 장인만이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완초장은 단순히 오래된 기술을 가진 장인이 아니라,

사라져가는 희귀 직업의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희귀한 직업 말총 공예의 정교한 작업 과정

말총 공예는 풀을 엮는 것보다 훨씬 더 까다롭습니다. 말의 털은 일반 섬유와 달리 두껍고 탄성이 있어 다루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완초장의 하루는 재료 손질에서 시작됩니다.

먼저 말총을 선별하고, 먼지와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해 깨끗이 세척한 뒤 햇볕에 말립니다. 이후 길이와 굵기를 일정하게 맞추고, 필요한 경우 끓는 물에 삶아 부드럽게 만듭니다. 이렇게 손질된 말총은 실처럼 가늘게 꼬아내 직조 재료로 사용됩니다.

이제 장인의 손끝에서 본격적인 직조가 시작됩니다. 말총은 뻣뻣하기 때문에 강약 조절이 필수적입니다. 장인은 촘촘한 패턴을 맞추기 위해 손끝의 감각만으로 실의 힘을 조절합니다. 단순한 바구니 하나라도 수백 가닥의 말총이 교차하며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수학적 계산과 미적 감각이 동시에 요구됩니다.

완성된 작품은 실용적일 뿐 아니라 견고함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갖습니다. 말총으로 만든 갓끈은 쉽게 끊어지지 않고, 의자는 수십 년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합니다. 이는 완초장이 단순한 기술자가 아니라, 자연 소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장인임을 보여줍니다.

 

왜 완초장은 희귀 직업인가

완초장이 오늘날 희귀 직업으로 불리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재료의 한정성입니다. 말총은 말에서만 얻을 수 있는 특수 재료이므로 대량 공급이 어렵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말은 농업과 교통의 수단이 아니라 스포츠와 레저 용도로 주로 쓰이기 때문에, 공예용 말총을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둘째, 고난도의 기술입니다. 말총을 다루기 위해서는 수십 년간의 경험이 필요합니다. 한 가닥의 털을 손에 익히고 원하는 형태로 직조하는 과정은 단순한 노동이 아니라 예술적 감각과 과학적 이해가 동시에 요구됩니다. 이 때문에 젊은 세대가 쉽게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셋째, 시장성과 경제성의 한계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플라스틱, 금속, 합성섬유 등 값싸고 대량 생산 가능한 재료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반면 말총 제품은 수작업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격이 높아, 대중적 소비재보다는 장식품이나 예술품으로만 한정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생계를 유지하기 힘들어 후계자를 찾기가 더욱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 모든 요인이 겹쳐 오늘날 완초장은 극소수만 존재하는 희귀 직업군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희귀한 직업 완초장 말총 공예의 현대적 가치와 미래

비록 희귀 직업이지만, 완초장이 가진 의미와 가치는 여전히 크며 오히려 현대적 맥락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첫째, 문화유산 보존의 측면입니다. 말총 공예품은 궁중 유물과 전통 생활 문화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이를 복원하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완초장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직업은 단순한 개인의 생계 수단이 아니라, 국가적 문화 자산을 지키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둘째, 친환경 소재로서의 가치입니다. 플라스틱 오염과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는 현대 사회에서, 자연 소재인 말총은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전통 공예와 현대 디자인이 결합한 제품들은 고급 인테리어 소품이나 패션 아이템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습니다.

셋째, 교육적·예술적 의미입니다. 완초장은 단순히 물건을 만드는 직업이 아니라, 장인 정신과 느림의 미학을 전하는 문화적 매개체입니다. 학생들과 시민들에게 공예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한국 전통 문화를 알리고, 창의적 영감을 불어넣는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완초장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뿐 아니라, 현대 디자이너 및 기업과 협업하여 새로운 소비자층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말총 공예는 단순한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미래 산업의 자원으로도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늘날 젊은 세대의 눈에는 낯설고 비효율적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완초장이 지켜온 기술은 단순한 직업을 넘어 한국 문화유산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도 꺼지지 않고 이어져 온 이 전통은, 지금 우리 사회가 ‘지속 가능성’과 ‘문화 다양성’을 추구하는 시대정신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말총 한 가닥, 풀 한 줄기가 장인의 손끝에서 직조될 때, 우리는 단순한 물건이 아니라 수백 년 이어온 시간과 정신을 함께 엮어내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완초장이 오늘날까지도 지켜야 할 이유이자, 앞으로 더욱 존중받아야 할 이유입니다.